청년들의 고민은 모두 비슷할 것 같은데요. 어떤 회사로 취직하느냐가 큰 이슈거리이죠. 졸업반을 앞둔 4학년이라 가장 취업이라는 것에 대한 압박이 심했던 것 같습니다. 내가 이 학교를 졸업해 벗어났는데 취직을 못 해서 아르바이트나 전전하지는 않을까 하는 그런 걱정들과 함께요.
그러다 보니 대학교 강의 수는 널널하고 여유있어졌지만, 결코 마음이 여유있지는 않더라고요. 취업을 진로를 빠르게 정해놓고 거기에 맞게 추가적은 스펙도 채워넣어야 했습니다. 저는 전공을 살려서 갈 생각이긴 했기 때문에 산업안전기사를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각종 기업에 대해 찾다 보니 이 자격증이 필요한 곳 그리고 이 자격증에 가산점을 부여해주는 곳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이게 있어야 취업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겠다는 판단이 서더라고요. 그렇지만 하나의 문제와 맞닿게 되었는데요.
그건 산업안전기사 난이도도 아닌 자격조건이었어요. 조건은 크게 3가지 유형이 있었는데 다른 기술자격을 보유하거나 관련학과를 졸업해야 하는데 이는 2년제 졸업일 경우 실무 경력이 추가로 2년 필요했고요. 다른 기술자격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종류에 따라 실무 경력이 필요하기도 했어요.
기준이 워낙 까다로워서 조건이 되는 건가 안되는 건가 헷갈리더라고요. 아직 졸업을 한 게 아니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잘 확인해보니 졸업예정자도 가능하다고 해서 저는 관련학과 4년제 졸업예정자로 시험응시 조건에 맞았어요. 시험을 준비하다 보면 어차피 거의 4학년 끝물이었거든요.
그래서 다행이라는 마음과 함께 이제 산업안전기사 난이도를 타파하기 위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기술자격증들이 다 난이도가 조금씩 있는 편이라고 하더라고요. 더군다나 이 시험은 과목수가 6개라 다른 기술자격에 비해 한 과목 많기도 했어요.
4학년이 되면 채워야 할 학점이 많지 않기에 여유있다고 좋아했는데 이렇게 자격시험들을 보라고 시간을 주신 것 같네요. 또 피 터지는 공부가 시작되었습니다. 최대한 자격시험 준비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시험일정이 1년에 3번인데 기간으로 봤을 때 제가 도전할 수 있는 시험은 연말의 마지막 시험이었거든요.
만약 여기서 떨어지면 졸업 후인 다음 해 시험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이죠. 그래도 전공 관련 대학교 공부는 많이 할 게 없었기 때문에 이 시험에 몰입했습니다. 시험 일정이 오래 남은 게 아니어서 공부하는 시간을 많이 할애했어요.
그리고 독학보다는 인터넷 강의를 활용했습니다. 워낙 그동안 공부를 해오면서 느낀 거지만 필요한 건 보조수단의 도움을 받는 것이 더 현실적이고 현명한 판단이더라고요. 시간에 여유가 있으면 모를까 여유 있지 않은데 혼자 힘겹게 공부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했어요.
요즘은 잘 찾아보면 재능기부 강좌들도 종종 볼 수 있거든요. 그래서 비용적인 부분도 크게 들이지 않고 이렇게 무상으로 강좌를 받아서 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산업안전기사 난이도에 맞춰 초보자들도 이해할 수 있게끔 강사님 강의도 아주 좋았고요.
아무래도 이 시험의 경우 필기와 실기가 둘 다 있기 때문에 공부를 하는데 빡빡한 하기는 하더라고요. 1차 시험은 과목수와 싸움이라고 한다면 2차 시험은 시험 유형과의 싸움이었거든요. 2차는 과목은 1과목밖에 되지 않는데 필답형과 작업형이라는 주관식의 형태로 출제되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이 부분이 산업안전기사 난이도에서 크게 한몫했습니다. 처음에 시험 진행 방식과 시간만 보고서는 필답형에 1시간 반 작업형에 1시간 반을 준다길래 왜 이렇게 시간을 여유롭게 주지하고 생각을 했었거든요. 어려우니까 그렇게 주는 거였더라고요.
1차와 2차는 각각 시험 유형에 맞춰 공부를 다르게 할 수밖에 없었어요. 기본적은 핵심이론들은 강좌에서 다 배울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어렵거나 문제가 될 것은 없었지만 외우는 방식이나 제가 문제풀이 연습을 하는 것이 관건이었죠.
강사님이 아무리 잘 짚어 주신다고 해도 그걸 내 걸로 만들어서 승화하는 것은 저만의 문제이니까요. 정말 하루에 6시간 7시간 넘게 공부를 했던 것 같아요. 6과목을 암기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진짜 많죠. 게다가 2차 시험은 필답형을 위한 암기는 더 어려웠답니다.
정말 하루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거나 기간을 넉넉하게 잡지 않으면 산업안전기사 난이도가 그렇게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시험은 아니더라고요. 노트에 낙서하듯 쓰면서 암기를 하기도 하고 전용 노트를 따로 만들어 달달 외우면서 다니기도 했어요.
주에 한 번씩은 문제풀이 시간의 날로 정했는데요. 그날은 이론 공부는 접어두고 문제풀이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이건 저만의 방식이었는데 이렇게 중간마다 문제풀이를 해보면 제 실력을 점검하기가 좋더라고요. 그래서 이런 식의 패턴으로 공부했어요.
진짜 저에게 구세주 같았던 강좌가 바로 문제풀이 강좌였는데요. 문제를 풀다 보면 이해가 안 되고 막히는 구간이 분명 있더라고요. 혼자서 다시 풀어보고 다시 풀어보려고 해도 잘 안되는 부분들이 종종 있는데 강좌에 문제풀이만 과정이 따로 있어서 그 덕에 풀이를 좀 더 수월하게 했던 것 같아요.
혼자 오랜 시간을 걸려 이해할 때까지 풀어야 했을 문제풀이를 강의를 보면서 하니 그 시간이 배 이상으로 단축돼서 널널하지 않은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었고요. 게다가 산업안전기사 난이도에서 실기 같은 경우에는 필답형이 어렵다고 하는데 이 부분을 공부하는 팁들도 많이 알려주셨어요.
그러다 보니 분명 산업안전기사 난이도가 높기는 한데 공부도 되더라고요. 중간 중가 모의테스트를 하면서 공부하는데 성적이 매주 오르는 게 확 느껴졌어요. 이럴 때 진짜 공부에 보람이 느껴지잖아요. 그래서 더 탄력받아서 더 열심히 했죠.
필기 시험 원서를 접수한 후부터는 2차 과목은 잠시 넣어둔 뒤 필기에 집중했습니다. 필기시험을 무사히 치른 후 결과가 나올 때까지 탐이 좀 있었는데 스스로에게도 자신감이 있었던 것 같아요. 합격을 가정하여 실기 시험을 바로 공부를 했죠. 페이스 유지를 위해서 일부러 그렇게 했었습니다.
자신했던만큼 1차 필기도 합격했었고요. 바로 준비했던 실기 시험 역시도 나름 잘 봤다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이 시험의 결과가 나오기 이제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졸업장과 동시에 산업안전기사 자격증을 가져갈 수 있을지 심장이 두근두근하네요. 부디 좋은 결과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 해당 포스팅은 업체의 지원을 받아, 솔직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음을 알립니다. *